제목: 복강경 탈장봉합술을 이용한 성인 서혜부 감돈 탈장의 치료
(원제: Laparoscopic Herniorrhaphy for Treating Incarcerated Adult Inguinal Hernia)
목적: 서혜부탈장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서혜부의 부어오름은 대부분 환원이 가능한 경우가 많으며, 응급 수술이 필요하지않다. 그러나 감돈탈장의 경우 응급 수술이 필요한 경우다. 이논문을 통해 성인 감돈탈장의 치료법으로 시행된, 복강경을 사용한 경복벽 접근의 수술 결과를 보고하고자한다.
방법: 2012년 9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복강경 탈장봉합술로 탈장 치료를 받은 76명의 성인 (감돈)탈장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망절제와 고환의 절개가 추가로 시행되었다.
결과: 감돈탈장환자는 모두 남성이었다. 이 중 장이 감돈된 환자는 4명, 대망이 감돈된 환자는 72명이었다.탈장환자 중, 66명은 복강 내 환원을 통해 장기를 보존하였으나, 10명의 환자는 장기 환원이 불가능하여 대망절제술을 시행하였다. 40세이하의 감돈탈장 환자에게서 대망절제술에 대한 위험 인자는 (탈장)증상지속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 간접 탈장, 높은 BMI 수치였다.
결론: 대부분의탈장 환자는 복강경을 이용한 복강 내 환원을 통해 장기의 보존이 가능하나, 서혜부-고환 탈장의 증상이 오래 지속된, 젊은 환자의 경우 (장기) 환원이 쉽지 않다. 고환절개를 통해 대망절제술을 시행한 뒤, 복강경 탈장 봉합술을 시행하는 방법은 크게 어렵지 않으며 감돈탈장 환자에게도 유용한 방법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