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서혜부탈장 : 판탈롱탈장의 복강경 수술
(원제: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ntaloon Hernias)
목적: 탈장 치료에서 복강경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상복부혈관의 어느 한 쪽에 직, 간접 탈장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판탈롱 탈장이라 하며, 이는 흔하지 않은 탈장으로 분류된다. 본연구의 목적은 탈장 수술을 전문으로 하는 단일 기관에서 복강경 수술 중 관찰된 판탈롱 탈장의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2014년 10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서혜부 탈장을 치료받은 성인 환자 985명 중, 판탈롱 탈장을 진단받은 18명의 임상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는 남성이었고 환자 나이의 중간 연령은 59.0세(연령범위 34~74세)이었다. 판탈롱 탈장은 우측에서 흔하게 관찰되었으며(9명, 50%), 12명의 환자(66.7%)는반대측 서혜부에서도 탈장이 관찰되었다. 동반된 탈장 유형 중 가장 흔한 유형은 직접탈장(6명, 33.3%)이었다. 수술시간, 재원시간과 수술 후 경과 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각각 31분(범위 20-40분), 4.33시간(범위 2-8.1시간), 12.5개월(2-28개월)이었다. 수술후 주요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수술 중 판탈롱탈장이 관찰되면 반대측 서혜부에서 탈장이 일어났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복강경 탈장봉합술은 탈장유형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동시에 동반된 탈장의 동시 치료가 가능하다. 따라서 판탈롱 탈장의 경우에도복강경을 사용한 치료가 좋은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