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서혜부 탈장의 재발 감소를 위한 복강경 수술의 효용성
논문저자: 이성렬 (담소유병원)
책임저자: 이성렬 병원장
[목적]
소아의 복강경 탈장 교정술은 합병증은 드물지만 재발의 가능성은 있다.
본연구는 소아 탈장 수술 방법 중 복강경 체내 직선봉합술(Laparoscopic intracorporeallinear suture technique)의
탈장 재발 감소에 대한 효용성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2012년 9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담소유 병원에서 복강경 탈장 교정술을 시행 받은 2223명의
10 세 이하의 소아 탈장 환자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발의원인에 대하여 각각 조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은 봉합 방법에 따라 두 군으로 나뉘었다:
1군 (쌈지 봉합(pulse-stringsuture), 1009명)과 2군 (직선 봉합(linear suture), 1214 명)
[결과]
전체 환자 중 남자 환자는 1413명 (63.6%)이었고 여자 환자는 810명 (36.4%)이었다.
평균 나이는 30.5 ± 29.2개월이었다. 제2군에서 재발률이 유의하게 낮았다.1군 환자 중 10건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내서혜륜의 봉합이 장력을 견디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반면 2군에서는 한건의 재발만이 관찰되었다.다 변량 회귀 분석에서는봉합 방법과
연령이 재발의 유의한 위험인자였고 직선 봉합군에서 재발률이 더 낮았다
(oddsratio = 0.07, 95% confidence interval 0.01-0.53)
[결론]
선봉합술은 쌈지봉합술과 비교할때 탈장 재발률이 유의하게 낮았다.
직선 봉합술은 봉합선을 따라 좀 더 넓은 면적에 압력을 분산하여 내 서혜륜 주위의 장력을 더 잘견디게함으로서
재발을 줄일수 있다.따라서 소아복강경탈장수술 시 직선봉합술을 사용하면 재발을 줄일수있다.
이처럼 소아 서혜부 탈장의 재발 감소를 위한 복강경 체내 직선 봉합술의 효용성에 관한 논문을
(The efficacy of laparoscopic intracorporeal linear suture technique as a strategy for reducing recurrences in pediatric inguinal hernia)을
투고하였고 탈장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의 SCI 학회지인 Hernia 학회지에 게재되는 성과를 거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