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icacy of Laparoscopic Herniorrhaphyfor Treating Incarcerated Pediatric Inguinal Hernia
소아 서혜부 감돈 탈장 치료를 위한 복강경 탈장술의 효용성
개요
[목적]
서혜부 탈장봉합술은 가장 흔한 선택적 수술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탈장 환자들은 서혜부 부분이 부풀어오르는 증상을 보이지만 곧 원래대로 돌아간다. 그러나 서혜부 감돈 탈장 (IIH)의 경우, 반드시 응급 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서혜부 감돈 탈장(IIH)에 대한 복강경 수술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12년 9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서울 담소유병원에서 4,782 명의 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복강경 탈장술을 시행하였다. 그 중 164명의 서혜부 감돈 탈장 (IIH) 환자들의 수술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장기 별로 감돈 사례는 난소 감돈이 51명, 장 감돈이 103명, 대망감돈이 10명이었다. 난소(51/66)와 장(88/98)은 각각 여성과 남성 중 가장 흔히 보이는 감돈 장기들이었다. 장과 난소, 대망은 대부분의 경우에 보존되었다. 잔류 허혈성 난소를 가진 한 명의 여성 환자에게 난소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허혈성고환이 있는 한 명의 남성 환자에게는 장 감돈으로 발생하는 고환 혈관 압박으로 인하여 고환 절제술이 시행되었다.남성 소아 환자 중 12 개월 미만의 나이와 1 주이상 지속되는 증상기간은 서혜부 감돈 탈장 (IIH) 의 위험 인자였으나, 여성 소아 환자의 경우에는 12 개월 미만의 나이와 1주 이하로 지속되는 증상 기간이 서혜부 감돈 탈장 (IIH) 의 위험 인자였다.
[결론]
장과 난소는 각각 남성과 여성의 소아 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탈장 기관이었다. 체내 장기 환원은 복강경 기구를 통해 쉽게 수행하였다.

|
|